본문 바로가기
300x250

단체교섭2

직장 생활 백서: 노사협의회 vs 노동조합, 헷갈리는 개념 완벽 정리! 안녕하세요,직장 생활을 하다 보면 '노사협의회', '노동조합'이라는 용어를 심심찮게 듣게 됩니다. 왠지 근로자들을 위한 기구인 것 같긴 한데, 정확히 뭐가 다르고 어떤 역할을 하는지 헷갈리셨던 적 있으신가요? 오늘은 직장인이라면 반드시 알아둬야 할 핵심 개념, 노사협의회와 노동조합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정리해 드리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. 이 두 기구의 역할과 기능, 참여 대상 등을 제대로 이해하면 더욱 현명하고 주체적인 직장 생활을 하는 데 도움이 되실거라 생각됩니다.1. 설립 목적과 주요 기능:노사협의회주된 목적: 사용자와 근로자가 상호 이해와 협조를 바탕으로 근로조건 개선 및 사업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는 데 있습니다. 즉, '함께 잘 해보자!'는 취지에 가깝습니다.주요 기능:협의 사항: 임금, .. 2025. 4. 23.
노동조합 단체교섭 공문 접수시 회사 진행 절차(교섭요구 공고) 보통의 일상생활을 해오다 갑자기 노동조합 단체교섭 공문이 날라오면 당황할 수 밖에 없다. 일단 공문이 회사로 접수되면 회사는 노동법에 따라 행해야 하는 것들이 있다. 1. 교섭요구 공고 1) 법적근거 최초 교섭요구를 받은 사용자는 그 요구를 받은 날부터 7일간 그 교섭을 요구한 노동조합의 명칭 등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사항을 해당사업의 게시판 등에 공고하여 다른 노동조합과 근로자가 알 수 있도록 해야 한다. 샘플 파일을 참조 바란다. 2) 교섭요구공고에 대한 방법과 내용 공고기간은 최초교섭요구일부터 7일간으로 초일은 산입되지 않으나 공고이후의 휴무일 또는 휴일은 산입된다. 게시판은 노동조합과 조합원들이 쉽게 알 수 있는 장소와 방법이라면 내부 전산망에 공지하는 것도 가능하다. 2. 교섭참여요구 사용자에.. 2024. 1. 16.